sql 개발자
-
[SQLD] SQL 개발자 공부하기 Day 2 : 정규화 / 반정규화 / 관계Study/SQL 2024. 2. 17. 23:23
목차 정규화, 반정규화, 관계 1. 정규화 / 반정규화 / 관계 정규화 Normalization 데이터의 일관성, 최소한의 데이터 중복, 최대한의 데이터 유연성을 얻기 위한 방법 ‣ 테이블을 분해해서 데이터 중복을 제거하기 때문에 데이터 모델의 유연성을 높임. ‣ 제1정규화부터 제5정규화까지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제3정규화까지만 수행한다. ‣ 정규화된 모델은 테이블이 분해된다. ‣ 정규화를 수행하면 불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중복 데이터가 제거된다. 정규화 절차 1. 제1정규화 - 함수적 종속성을 근거로 기본 키를 설정한다. 2. 제2정규화 - 기본키가 2개 이상의 칼럼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만 발생, 부분 함수 종속성을 제거. 3. 제3정규화 - 이행 함수 종석성을 제거. 4. BCNF..
-
[SQLD] SQL 개발자 공부하기 Day 1 : 데이터 모델링 / ERD / 엔터티 / 속성Study/SQL 2024. 2. 16. 23:11
목차 데이터 모델링 / ERD / 3층 스키마 엔터티 / 속성 / 관계 / 식별자 1. 데이터 모델링 / ERD / 3층 스키마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를 단순화시켜 데이터베이스로 표현하기 위한 작업. 데이터 모델링의 특징 1. 추상화 2. 단순화 3. 명확성 데이터 모델링 단계 1. 개념적 모델링 - 프로세스 분석, 전사적 관점에서 데이터 모델링, 추상화 수준이 가장 높음 2. 논리적 모델링 - 정규화를 통해서 재사용성을 높임 3. 물리적 모델링 - 데이터 베이스를 실제로 구축 데이터 모델링 고려사항 1. 데이터 모델의 독립성 2. 고객 요구사항의 표현 3. 데이터 품질 확보 ERD Entity Relationship Diagram 엔터티와 엔터티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모델링 방법. *엔터티(Ent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