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품 개발 프로세스와 제품 조직 장단점(기능조직, 목적조직)Study/Product, 서비스기획 2024. 10. 17. 11:49728x90반응형
제품의 개발 및 운영방식을 이해의 목적
기업의 제품 개발 환경에 맞는 효율적인 개발 운영 및 개발 방식이 필요하기 때문.
- 기업의 규모 및 사업 단계에 따른 제품 관리 방식이 달라져서 제품 관리 방식에 대한 요구사항들이 새롭게 정의됨
- 제품의 영역별로 제품 관리 방식이 달라져서 제품 관리 방식에 따라 제품관리자의 역할 상이하게 됨
제품개발 프로세스
제품의 목표설정부터 기획/설계/개발/배포 단계를 거쳐 유저/비즈니스 임팩트 분석까지 아우르는 과정
제품 구현 방식 case별 분류
1. 외주(아웃소싱)
a) 개발 리소스에 대해서 외주 주는 경우
사업기획 조직 or 서비스 기획 조직 → 개발조직 → 외주사 개발조직
- 외주 개발사에 개발일정이 의존성을 띄게 됨
- 개발사와 프로젝트 단위 계약(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연간계약)인 관계로, 유연한 추가 요건 협의 불가
- 프로젝트 요건이 수정되거나 일정이 변경되었을 때, 추가계약 등의 문제로 인해 진행이 어려움
- 사업조직 혹은 서비스기획 조직과 개발조직 간에 목표일치가 안 되는 경우 있음
- 기획조직은 비즈니스 목표에 따라 기획을 진행하지만(월별 kpi, 분기별 okr 등) 개발의 속도가 느려지는 점
반응형b) 개발 및 기획 리소스에 대해 모두 외주 주는 경우
사업기획 조직 or 서비스 기획 조직 → 외주사 기획조직 → 개발조직 → 외주사 개발조직
- 개발사에 기획요구사항을 정제하여 전달하고, 산출물을 검토하는데 시간 소요가 상담한 점
- 운영형태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기본적인 기획요건을 워터폴 방식으로 사전에 모두 정의해야 하는 점
- 산출물 관리가 이원화되는 점 (요구사항 - 제품스펙 - 제품설계 - 구현단계 내)
2. 내재화
a) 사업조직과 제품기획 조직 간 분리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업기획 조직 or 서비스 기획 조직 → 개발조직
- 비즈니스가 제품기반으로 진행되는 경우, 사업조직과 제품조직의 분리 없이 기획진행 가능 (매출전략 = 제품전략)
- 개발조직이 내부에 있어 비즈니스 속도와 제품개발의 속도의 밸런스를 맞출 수 있음
- 충분한 개발인력 확보 필요
- 단, 운영요건 등을 포함한 제품 개발 우선순위의 결정 프로세스 필요
b) 제품기획과 제품개발 조직 간 분리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목적조직)
사업기획 조직 ⇄ 제품기획 조직 → 목적조직 ← 개발조직
- 비즈니스의 목표와 제품의 목표를 동기화한 이후 제품 기획 가능
- 제품정책 담당자와 개발자가 하나의 조직에 있어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빠른 속도의 제품 의사결정이 가능
제품조직의 이해 목적
조직의 특성을 이해해야, 제품을 기획/설계/개발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명확히 이해하고,
조직 특성을 반영한 효과적인 제품 기획방식이나 이해관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방식등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
728x90기능조직
특정 기능을 담당하고 기능을 통해서 비즈니스 임팩트를 내는 기능 단위의 조직
ex) 기획팀, 디자인팀, 개발팀 등
장점
- 특적 제품 혹은 특정 제품 도메인의 전문성 강화
- 명확한 커뮤니케이션 채널 운영 가능
- 특정 제품 혹은 제품 도메인의 고도화 방향성 명확
단점
- 제품 프로세스 내 공정의 비효율
- 조직의 목표 연계의 어려움
- 제품 우선순위 결정의 어려움
- 전사 목표에 대한 공감대 형성의 어려움
목적조직
특정 목적을 수행 또는 달성하기 위해 관련 인력들이 한 팀에 소속되어 있는 조직
장점
- 제품을 빠르게 시장에 안착
- 내부 커뮤니케이션에 집중 가능
- 빠른 의사결정
- 목표에 대한 공감대 형성 가능
단점
- 목적조직 외 업무 배정의 문제
- 기술 및 운영부채
- 목적조직 간 제품 우선순위 결정의 어려움
- 과도한 자율성에 따른 관리 이슈 발생
728x90반응형'Study > Product, 서비스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바른 가설 정의와 스토리 기반 기획 (2) 2024.10.22 성과지표의 4가지 유형, 로그의 유형 (1) 2024.10.21 도메인에 대한 이해 (0) 2024.10.15 서비스 기획에서 Product의 5가지 유형 (14) 2024.10.09 Product에 대한 갈등 Case (6) 202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