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ctive User. 활성 사용자 공부하기 (DAU, WAU, MAU)Study/Product, 서비스기획 2024. 7. 9. 15:58728x90반응형
Active User
- 활성 사용자
- 특정 기간 동안 앱과 상호 작용한 사용자를 의미
Active User 계산법
- 활성 사용자에 대한 기준 결정
- 검사하려는 기간을 결정
- 데이터를 수집하고 각 기간 동안 활성 사용자 기준을 충족하는 고유 사용자 수 합산
반응형다양한 기업들의 Active User 기준
Facebook
- Active User 개념을 로그인 사용자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 로그인을 하지 않고 페이스북 게시물을 본다면 활성 사용자에 집계되지 않는다.
Twitter
- Active User를 광고를 볼 수 있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한다.
- 트위터에 가입이나 로그인을 하지 않더라도 광고를 볼 수 있다면, Active User로 본다.
이외에도 예를 들면,
배달의 민족은 이용자의 '음식 주문 횟수'를 기준으로 활성 사용자를 정의할 수 있겠고,
밀리의 서재는 '구독 여부'를 활성 사용자로 정의할 수 있을 것 같다.
DAU Daily Active User
- 일일 활성 사용자 수
- 최소 하루에 한 번 앱에서 세션이 활성화된 고유 사용자 수
- 즉, 하루 동안 앱의 방문한 사용자가 총 몇 명인지 말해주는 지표
- 한 명의 사용자가 여러 번 앱을 방문했다고 하더라도, DAU 계산 시, 그 사용자는 1번만 카운팅 된다.
WAU Weekly Active User
- 주간 활성 사용자 수
- 최소 7일에 한 번 앱에서 세션이 활성화된 고유 사용자 수
MAU Monthly Active User
- 월간 활성 사용자 수
- 최소 30일에 한 번 앱에서 세션이 활성화된 고유 사용자 수
- 즉, 한 달 동안 앱의 방문한 사용자가 총 몇 명인지 말해주는 지표
- MAU 지표는 앱이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쓸 정도로 매력적인지 말해줌
728x90위 그림을 보면,
첫째 주 월요일 DAU는 2 [짱구, 철수]
첫째 주 화요일 DAU는 0 [ ]
첫째 주 수요일 DAU는 1 [철수]
첫째 주 금요일 DAU는 2 [짱구, 유리]
첫째 주 WAU는 3 [짱구, 철수, 유리]
둘째 주 WAU는 3 [맹구, 훈이, 철수]
셋째 주 WAU는 2 [짱구, 철수]
넷째 주 WAU는 4 [유리, 철수, 짱구, 훈이]
MAU는 5 [짱구, 철수, 유리, 맹구, 훈이]
이렇게 볼 수 있다.
또한, DAU/MAU 비율로 월별 사용자 대비 몇 퍼센트의 사용자가 매일 앱을 사용하는지 볼 수 있다.
이는 고착도(stickiness)를 나타낸다.
728x90반응형'Study > Product, 서비스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경제학. 사용자 경험을 바꾸는 UX심리학 (1) 2024.07.11 제이콥 닐슨의 10가지 휴리스틱 평가. 사용성 평가 (0) 2024.07.10 PMF(Product Market Fit). 성공적인 제품 개발을 위한 제품 시장 적합성 (0) 2024.07.08 Stickiness. 리텐션과 비슷한 것 같지만 다른 지표. 고착도 (1) 2024.07.01 Retention, 앱 성공의 핵심 열쇠. 사용자 리텐션 (0) 2024.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