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기획을 한다...? 다양한 목소리 속에서 길을 찾는 것..?
    Study/Product, 서비스기획 2024. 5. 3. 00:15
    728x90
    반응형

     

    기획

    • 일을 꾀하여 계획하는 것
    • 목표를 위해 없었던 일을 새로이 만들고, 그것을 세부적인 계획까지 연결하는 것.

     

     

     

    서비스 기획자

    • 화면기획과 기능 요구사항 정의
    • 요구사항에 따라 웹/앱 서비스의 유지 및 보수를 담당
    • 프로덕트 매니저가 담당하는 제품 전략 업무, 지표 관리 및 분석 업무보다 디테일한 화면 설계, 스토리보드 작성 등의 업무 비중이 높음
    • 주로 서비스나 소프트웨어 개발하는 초기 단계에서 활동

     

     

     

    Product

    • 어떠한 기능(Feature)들의 조합을 통해서 목적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의 총체

     

     

     

    프로덕트 매니저

    반응형
    • 프로덕트 방향성과 필요한 일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역할
    • 제품 전략을 관리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계획을 실행하는 사람
    • 제품의 비전과 가치를 정의하고, 고객 요구 사항과 시장 동향을 파악하고,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제품의 성공을 보장하기 위해 디자인, 개발, 마케팅 및 영업 팀 등 협력하는 일을 담당
    • 모든 이해 관계자의 요구를 충족하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회사, 고객 및 제품 팀 간의 커뮤니케이션 및 다리 역할을 하는 사람
    • 프로덕트의 전체적인 생명주기 관리 역할

     

     

     

    물론, 프로덕트 매니저도 기획과 프로덕트 매니징 모두 잘해야 할 것이다.

     

    • 사용자 중심 사고
      • 사용자 리서치, 데이터 기반

     

    • 다각적 분석력
      • 요구사항에 대한 이해, stakeholder의 니즈 파악, 리스크 검토

     

    • 논리력
      • 배경 → 목표 → 정책 → Flow → 상세 스펙 → 후속과제 → 결과 리포트

     

     

    • 커뮤니케이션
      • 이슈, 원인, 영향범위, 해결방법을 명료하게 커뮤니케이션

     

    • 체계화
      • 맥락을 이해하고, 디테일은 도움 요청하기

     

    • 문제 해결
      • PM은 해결사다. 해결방법 찾기

     

     

     

    전략 기획자와 서비스 기획자의 차이

    • 전략 기획: 비즈니스 생태계 살아남을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것.
    • 서비스 기획: 사용자 반응을 보며 계속해서 이 모델을 정교화시키는 것.
    728x90
    • 전략 기획자: 언제 어디서나 방향을 잃지 않도록 하늘에 북극성을 뛰어주는 사람
    • 서비스 기획자: 그 북극성을 목표로 어떻게 바다를 헤쳐나갈지 선원들과 상의해서 노를 저어가는 사람

     

     

     


    기획을 한다?

     

    기획은 고객을 중심으로 고객이 원하는 바를 파악하는 사용자 중심 설계가 기본이지만 고객은 한 명이 아니다.

     

    자신의 이용 경험을 기준으로 추측만 하는 것은 근거 없는 가설일 뿐이다. 즉, 논리적인 기획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다양한 고객 세그먼트를 정의하고 시장 조사와 사용자 인터뷰를 실시하여 고객의 행동 요구,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정략적 데이터와 정성적 연구 방법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그리고 해결해야 할 핵심 문제를 정해서 기능과 서비스를 우선순위를 정해 개발해야 할 것이다.

     

    즉, 서비스를 개선할 때, 자신의 경험이나 고객 불만이 시작점은 될 수 있지만, 궁극적인 서비스 개선은 다각도의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글을 작성하는 앱이 있다고 가정하자. 

     

    글 작성에서 임시저장 기능, 자동저장 기능을 넣는 것은 사용자 입장에서는 버튼 하나 들어가는 굉장히 간단한 기능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기획자 관점에서는 쉽게 결정할 사안이 아니다.

     

    '완성된 글 데이터와 임시저장 데이터를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 '임시저장으로 인해 증가할 쓰레기 데이터의 처리와 비용은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등의 고려 사항이 있다.

     

    임시 저장되면 얼마나 오래될지 등은 비용과 연관이 있을 것이기에 여러 방면 고려해보아야 한다.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