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같은 길, 다른 UX - 네이버지도와 카카오맵 홈 화면 비교 분석
    Study/서비스기획 2025. 5. 19. 21:04
    728x90
    반응형

    📌 개요  

    지도 앱은 단순한 길 찾기 기능을 넘어, 일상에 밀접한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지역 정보, 리뷰, 생활 편의 기능까지 포함한 슈퍼 앱으로 확장하고 있다.

     

    지도 앱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1) 잔존율이 높다.

      2) 타 앱과의 연결 및 확장성이 좋다.

      3) 범용성이 높은 서비스이다.

     

     

    네이버지도와 카카오맵은 국내 양대 지도 앱이다.

     

    네이버지도의 월 활성 사용자 수는 2,626만 명이며,

    카카오맵의 월 활성 사용자 수는 1,171만 명이다.

     

    네이버 지도는 검색과 리뷰 기능을 강화해 지역 기반 상권 정보를 통합 제공하여, 앱 내에서 맛집 추천부터 여행 동선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

     

    카카오맵은 위치 공유와 대중교통 정보, 숙소 예약 기능까지 확대하여, 사용자의 생활 동선을 앱 하나로 해결할 수 있다.

     

     

     

     

    🔍 비교   

    1. 스플래시 스크린

    네이버지도 카카오맵 비교 - 스플래시 스크린

    반응형

     

    네이버지도는 스플래시 스크린을 통해 제휴사 광고를 노출하여 수익 모델로 활용하고 있다.

     

    카카오맵은 자체 브랜딩에 집중해 로고와 배경 컬러로 비교적 깔끔한 진입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두 앱은 수익브랜딩이라는 상반된 전략을 보여주는 것 같다.

     

     

     

    2. 메인 화면

    네이버지도 카카오맵 비교 - 메인 화면

     

    네이버지도의 검색창 안내 문구는 "장소, 버스, 지하철, 주소 검색"으로 구체적인 안내 문구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가능한 행동을 직관적으로 유도한다.

    또한, Smart Around, 날씨, 내 장소 등 위치 기반 기능을 중심으로 배치하여, 정보 탐색에 유리하게 보인다.

     

    반면, 카카오맵은 "서구 복수동"과 같이 현재 지도의 위치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실시간 상황 인지를 돕는다.

    홈 화면에서 위치 공유, 전문가 등 실시간 위치 기반 행동을 빠르게 유도하는 요소가 강조된다.

     

     

    네이버지도는 정보 탐색 흐름 유도의 초점을 두는 반면, 카카오맵은 현재 위치 기반 실시간 행동에 초점을 돕는 것 같다.

     

     

     

    3. 메뉴 비교

    네이버지도 카카오맵 비교 - 메뉴 비교

     

    네이버지도는 좌측 사이드 메뉴를 통해 프로필 및 다양한 기능을 노출한다.

    길찾기, 내비게이션 외에도 기차 조회 및 예매 기능을 제공하며 앱 이탈 없이 메뉴에서 기차 예매를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카카오맵은 하단 바텀시트 메뉴를 활용하여 위치 공유, 전문가 연결 등 하이퍼로컬 서비스 강화에 집중하는 점이 느껴졌다.

    카카오맵의 초정밀버스 기능은 지방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10cm 단위의 버스 위치 정보를 1초마다 갱신하여 자세한 버스 정보를 알려준다고 한다.

     

     

     

     

    4. 필터 칩 비교

    네이버지도 카카오맵 비교 - 필터 칩 비교

    728x90

     

    네이버지도의 필터는 [음식점, 카페, 포장주문, 편의점, 가볼만한곳, 주유소, 주차장, 약국, 펜션, 마트, 은행, 헤어샵, 쿠폰, 응급진료]로 구성되어 있다.

    필터 적용 시, 현재 지도 중심에서 결과가 바로 반영되어 탐색이 더욱 편했다.

    광고 가게는 눈에 띄게 배치되고, 상세페이지 진입 없이도 해당 가게에 대한 정보를 쉽게 탐색할 수 있다.

     

    카카오맵의 필터는 [맛집랭킹, 음식점, 카페, 편의점, 가볼만한곳, 즐겨찾기 인기스팟, 동네소식, 숙소, 혜택, 포장, 예약하기, 셀프사진, 주차장, 주유소, 전기차충전소, LPG충전소, 응급진료]로 구성되어 있다.

    필터 적용 시, 지도 중심이 바뀌며 검색된 장소로 이동된다.

     

     

     

    5. 지도 설정 비교

    네이버지도 카카오맵 비교 - 지도 설정 비교

     

    지도 설정에서는 카카오맵이 더 다양한 레이어를 제공한다.

     

     

     

    6. 각 지도 차별 기능

    네이버지도 카카오맵 비교 - 차이점

     

    네이버지도는 바텀시트에서 Smart Around를 통해 현재 위치 중심의 주변 탐색 및 개인화된 검색 경험을 강화했다.

    또한, 날씨 정보를 지도에서 볼 수 있게 하여, 사용성을 개선했다.

     

     

     

    네이버지도 카카오맵 비교 - 차이점

     

    카카오맵은 위치공유 기능을 통해 친구들과 위치를 공유할 수 있으면 유저 연결 경험을 강화했다.

    또한, 사용자의 지역 근처에 있는 전문가와 연결성을 강화하여 하이퍼로컬 시장 경쟁력을 내세우고 있다.

     

     

     

     

    🤔 마무리   

    동일한 지도라는 서비스 도메인을 다루지만, 두 앱은 다른 UX 전략을 채택하고 있음을 느꼈다.

     

    네이버지도는 방대한 사용자 리뷰 데이터를 토대로 개인화된 정보 탐색을 보여준다라고 느꼈고,

    카카오맵은 사용자간 연결성을 강화하여 실시간 정보 기반 생활 앱으로 느껴졌다.

     

     

    나는 위치 정보나 길찾기를 할 때에는 네이버지도를 사용하고,

    친구와 약속을 잡아 만나기로 했다면 카카오맵의 위치공유 기능을 잘 사용하고 있다. 

     

     

    초정밀버스 기능은 내가 있는 지역에는 제공하지 않아서 아쉬움이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